본문 바로가기
2023 활동 - 4학년/[1월 ~ 4월] sw 아카데미 백엔드 과정

[2023.01.25 / CNU SW 아카데미] 컴퓨터 네트워크 - 전송계층

by 은행장 노씨 2023. 1. 25.

전송계층 TCP vs. UDP

예전에는 UDP가 10%, 지금은 점유율이 30~40%로 올라갔다. 

TCP 에서는 컴퓨터 서버 사이에 신뢰성과 오류 제어에서 중요하다. 

TCP Socket Programming

TCP Header 모양을 보고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한다. 문제가 생기면 패킷 분석을 한다. 

 

TCP 혼잡제어

커널에서 구현되었다. 웹을 만들었을 때 성능 핵심은 혼잡제어와 관련된다.

 

증상

• long delays (queueing in router buffers)

• packet loss (buffer overflow at routers

 

TCP slow start

 


너는 누구? 어디에? IP Address

IP는 컴퓨터 사이에 라우터가 있다. 

라우터를 거칠 때 마다 IP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

 

너는 누구?

•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개체 식별자(주소): IP address => 논리적인 주소

• 디바이스 고유의 식별자: MAC/hardware/physical address => 물리적인 주소

 

충남대학교 주소?

• 논리적인 주소: 대전시 유성구 대학로 99

• 물리적인 주소: 위도 36.3688° N, 127.3469° E

 

링크계층 : 이더넷, 무선랜, LTE/5G

링크계층에서 상대방의 식별자

 

대문자가 네트워크다. 

IP : A, P 안바뀐다. 

물리주소는 바뀐다. a, d, 링크 하나를 건너갈 때마다 바뀐다. 

 

학교 위치는 안 바뀌는데, 버스는 바뀐다. 

- 네트워크 주소 집 -> 학교

- 물리 계층 버스 

 

왜 주소가 두 개가 있을까?

물리계층도 여러 개, 네트워크도 여러 개로 가정하고 만들었다. 

주소가 바뀔 때 주소를 물어보는 프로토콜이 있다. ARP

 

• IP 주소 <- -> 이더넷 주소 바꾸는 프로토콜: ARP

• IP 주소 <- -> 이름 바꾸어주는 프로토콜: DNS

 

IP Address

IPv4: 32 bits (4 bytes) A. B. C. D

• 168.188.10.20

IPv6: 스마트폰이다. 16비트(2바이트) 16진수 표현

 

주소 표기법을 알아야 한다. 

처음 비트 표기로 class를 구분한다. 옛날 표기이기는 한데 관습적으로 남았다. 

실시간 방송은 D 클래스이다. 

E 클래스는 사용하지 않는다. 

 

여러 개의 특수 주소가 있다.

- 사설 IP는 기억해보자.

- 127은 자기 자신이다.(localhost 127.0.0)

- 0.0.0.0 default 라우터 주소 

 

 

IPv6

이동통신이다. 

통신회사가 돈 주고 산다. 64비트는 통신회사가 다 갖고 있다. 

v6 안에서 v4를 포함해야 한다. 

 

CIDR

주소 표기법 -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

주소를 어떻게 합치고 늘리고 하는가? 

라우터가 전세계 인터넷 주소를 몇 개 가지고 있어야 목적지 인 터넷주소를 검색할 수 있을까?

 

앞에 몇 비트가 똑같나?

C class - 24

B class - 16

기준점을 잡고 외우자. 비트가 추가될 수록 줄어든다. 

주로 라우터에서 쓴다. 주소 표기법이 바꿨다. 

 

 

앞에서 22개가 똑같다. 서버를 다룰 때 세팅할 줄 알아야 한다. 

나머지 10개가 바뀐다. 

리눅스에서 누가 만들었다. 명령어 - ipcalc 

시간이 걸려도 손으로 해봐야 한다.

 

 

 


 

다음 시간은...

https://sites.google.com/cs-cnu.org/datacomnet/

 

데이터통신과 컴퓨터네트워크

데이터통신 학습내용 물리계층: 아날로그, 디지털 통신, 변조, 라인코딩, 오류제어 링크계층: 다중화(TDM, FDM, WDM), 음성통신(T1), 매체접근제어 네트워크계층: 회선교환, 패킷교환, IP주소 실습 및

sites.google.com

위의 사이트에서 자료와 예제를 찾을 수 있다. 

네트워크 관련, 수업 내용도 있고, 깃허브 코드도 있고, 시험도 볼 수 있다. 

 

암호화를 위해서는 TLS를 해야 한다. 

서버가 가짜인지 진짜인지 확인을 해야 한다. 

 

SDP, NAT, 

보고 예습해보자.